연화산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대황리 산88-9)
Last Updated :
지명 정보
- 한글지명
- 연화산
- 영문지명
- Yeonhwasan
- 한글주소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대황리 산88-9
- 한문주소
- 瑞山市
- 영문주소
- Seosan-si
- 고시번호
- 국무원 고시 제16호
- 고시일자
- 1961-04-22
지명 유래
- 지명유래
-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산맥을 쫓아 제일 상봉을 연화산이라고 불리워 왔다.
- 지명유래집
- 시의 지곡면·팔봉면·성연면 사이에 있는 산이다(고도:235m). 『호산록』에서 “연화산은 군 북쪽 20리에 있다. 그 산은 토품이 비옥하여 초목이 무성하게 자란다. 산 아래에 거주하는 민간인들이 매년마다 불을 놓고 곡식을 심음으로 이익이 평전보다 갑절이나 높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이 내용을 통해서 지명의 역사가 조선 중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한자가 연화산(烟華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 한자는 비옥한 토양에 화전농업으로 인한 결실의 풍성함을 강조하고 있는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듯하다. #『조선지도』, 『청구도』, 『동여도』에는 연화산(烟火山)으로, 『1872년지방지도』에는 연화산(烟花山)으로 각각 기재되어 있어 비슷한 상황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여지도서』에 의하면 “문현면 연화리(蓮花里)는 읍치에서 서쪽으로 27리 지점에 있으며, 편호 53호, 남자 81명, 여자 48명이다.”라고 한자가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연화산은 풍수지리의 형국론에서 말하는 ‘연화부수형’이라고 전해진다. 이런 점에서 어떤 한자의 지명이 먼저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말하기 어렵지만 조선시대에는 서로 다른 한자 지명이 동시에 사용되었으며, 현재의 연화산은 풍수지리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해석된다.
- 지자체지명유래
- 황곡의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산의 모양이 마치 연꽃처럼 생겼다 해서, 이에 연유하여 산의 명칭을 그대로 연화산(蓮花山)이라 했다.
같은 이름 다른 지명
- 연화산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산108-1)
- 연화산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도화리 산73-3)
- 연화산 (강원도 태백시 통동 산70)
- 연화산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산93-3)
- 연화산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좌연리 산284)
- 연화산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식련리 산50)
연화산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대황리 산88-9) | 모두지명 : https://modoo.io/toponym/20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