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동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213-7)
Last Updated :
지명 정보
- 한글지명
- 이태원동
- 영문지명
- Itaewondong
- 한글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213-7
- 한문주소
- 龍山區
- 영문주소
- Yongsan-gu
- 고시번호
- 국무원 고시 제16호
- 고시일자
- 1961-04-22
지명 유래
- 한국지명요람
- 龍山洞과 漢南洞 사이에 끼어 있고, 南山循環道路에서 東氷庫洞에 이르는 넓은 면적을 갖는 동이며 행정동으로는 梨泰院 1,2洞으로 나뉘어 있다. 원래는 京畿道 高陽郡 漢芝面 , 梨泰院里였는데 1935년에 京城府에 편입되어 梨泰院町이라 하고, 해방후 梨泰院北部洞, 中部洞,南部洞등으로 나뉘었다가 1955. 4에 동제 실시로 梨泰院 1, 2洞이 되었다. 梨泰院은 普濟院, 箭串院, 弘濟院 등과 더불어 驛院이 있던 곳이며, 임진왜란 때 倭兵들과의 混血이 많았다 하여 異胎院이라 했다고 하는데서 由來된 地名이라고 하다가 孝宗때 배나무가 많은데서 지금의 地名으로 바뀌었다고도 한다. 대체로 南山의 남쪽 사면과 산록을 이루어 日本軍의 군사 시설이 있는 곳과 인접하여서 광할한 新木이 우거진 곳이었으나 해방 후 越南한 북한 사람들의 집 단 거주지로 바뀌어 文化村, 解放村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府君廟가 있으며, 外人住宅,外國公?들이 많아졌고, 三角地와 漢南洞을 잇는 도로가 통하고 근년에는 南山 제 2 터널이 통하여서 교통이 편리하다.
- 서울지명사전
- 용산구 이태원동에 있던 마을로서, 남산의 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조선시대 이태원이라는 역원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태원은 옛 문헌에 李泰院, 異胎院, 梨泰院 등 다양하게 표기되어 있다. ≪용재총화≫의 기술로 보면 15~16세기에는 李泰院으로 기록했으며, 임진왜란 때 왜병들이 이 마을 雲鐘寺에 머물면서 여승들을 겁탈하여 잉태하게 하였다고 하여 그 절을 ‘異胎院’이라고 속되게 불렀다고도 한다. 또 왜병들과의 피가 많이 섞인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17세기 인조, 효종 때 이 마을에 배나무가 많다고 하여 梨泰院으로 개칭했다고 한다. 院은 조선 초기부터 여행자의 숙소였는데 이태원은 동쪽의 普濟院?箭串院, 서쪽의 弘濟院과 함께 조선시대 도성 인근 4원의 하나였다.
이태원동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213-7) | 모두지명 : https://modoo.io/toponym/44663
모두 검색 - 오픈 컨텐츠는 공공데이터포탈, 공공기관, 언론사 등의 "제공처" 또는 "작성시기"에 따라 지연되거나 잘못 표기 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른 정보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하지 않습니다.
모두 검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사이트의 일체의 정보, 콘텐츠 및 UI 등을 상업적 목적으로 전재, 전송, 스크래핑, 파싱 등 무단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두 페이지의 모든 컨텐츠는 모두 검색 또는 페이지 소유주, 링크 소유자에게 있으며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모두 검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사이트의 일체의 정보, 콘텐츠 및 UI 등을 상업적 목적으로 전재, 전송, 스크래핑, 파싱 등 무단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두 페이지의 모든 컨텐츠는 모두 검색 또는 페이지 소유주, 링크 소유자에게 있으며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명 : (주)프로스 / 사업자번호 : 248-87-02348 / 주소 : 경기 김포시 태장로 789 금광하이테크시티 758호 / 문의 : [email protected]
모두 검색 © modoo.io All rights reserved. since 2013